2014년 6월 13일 금요일

전문가란?

"전문가는 관심을 가져야 할 것과 무시해야 할 것을 판단하고 결정할 줄 아는 사람이다"
- 에드워드 드노보

테슬라 모터스 짱. Elon Musk 짱.

테슬라 모터스가 가지고 있는 특허를 오픈하고, 자신들의 기술을 누가 사용하건 이슈를 제기하지 않겠단다. 전기차 산업계의 발전을 위해. 멋져.
2014.06.20: 이후 올라온 의견들을 보니, 그냥 '짱짱'할 일은 아닌 것 같기도 하다. 전략적으로 공개하는 것일텐데, 너무 순진하게 본 것 같다.

2014년 6월 12일 목요일

KCUG 시절

그 시절 게시판을 모아 놓은 사이트 발견^^

http://powervic.com/pds/pds.php?page=17&num=689

쿨뷰 설치 파일도 있군요. 정말 재밌던 시절.

the Machine

HP가 만들고 있다는 새로운 아키텍쳐의 컴퓨터.

Closeup of memristor devices on a 300mm wafer

관련 기사

http://www.businessweek.com/articles/2014-06-11/with-the-machine-hp-may-have-invented-a-new-kind-of-computer

인상적인 문구

when it’s released, could replace a data center’s worth of equipment with a single refrigerator-size machine.
about 75 percent of HP Labs personnel would be dedicated to this one project.
“At the end, Meg turned to [Chief Financial Officer] Cathie Lesjak and said, ‘Find them more money,’”
“People in Labs see this as a once-in-a-lifetime opportunity.”
HP’s bet is the memristor, a nanoscale chip that Labs researchers must build and handle in full anticontamination clean-room suits. 
With the Machine’s main chips sitting on motherboards right next to the memristors, they can access any needed information almost instantly. 
HP’s proposed silicon photonics would also be a big deal.
New memory and networking technology requires a new operating system. Most applications written in the past 50 years have been taught to wait for data, assuming that the memory systems feeding the main computers chips are slow. 
 OS development alone will be a massive effort.

관련 동영상

Finding the Missing Memristor - R. Stanley Williams (2010.1.21) R. Stanley Williams from HP Labs gives a keynote presentation on memristor technology at the UC San Diego Center for Networked System's Winter Research Review 2010.

위의 동영상에서 나오는 슬라이드 하나



이 슬라이드를 보고 생각나는 것은, 태양계에서 행성이 있어야 할 자리에 아무 것도 없다든가, 물리학에서 소립자들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소립자들을 속성에 따라 구분할 때, 대칭적인 위치에 뭔가 비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자리에 있어야 할 소립자를 연구해서 찾아내는 이야기.

자연은 대칭. 음양과 태극. :)


2014년 6월 11일 수요일

Scala on Android

자바의 반복적인 코드 형식이 귀찮을 때가 있다. 그래서 스칼라를 사용해서 개발을 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Scaloid라는 라이브러리가 똵!

Less painful Android development with Scala

블로그도 운영이 되고 있다. 그리고, 개발자가 한국사람이다. Scaloid가 2013년 미래부, '2013 공개 SW 개발자 대회' 일반 부문 대상작이라고.

2014년 6월 5일 목요일

Contiki: The Open Source OS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는 알게 모르게 점점 실생활에 퍼질텐데, 그 기기들의 OS로 주목을 받고 있다는 Contiki.

http://www.contiki-os.org

IPv6가 올라가는 일반적인 시스템의 경우 10k RAM, 30k ROM에서 동작.

Instant Contiki로 개발을 시작할 수 있다.


2014년 6월 2일 월요일

Neovim이 꾸준히 개발되는 중



Neovim이 나왔을 때 와우!하는 사람도 있었고, Vim의 오리지널 개발자인 Bram Moolenaar의 반대하는 글도 올라왔었다.

일단 현재 상태로 보면 호응하고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프로젝트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매일 Vim을 사용하는 입장에서 현재 Vim의 가장 큰 문제는 어느 정도 수준 이상이 되었을 때 내가 원하는 확장(extension)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것. Vim 파워 유저지만 Vim 스크립트를 만들 때는 다시 초보자가 된다. 당연한가? 그게 당연하지 않도록 되었으면 좋겠다.